구기자
진시황이 죽을때까지 놓지 않았다는 구기자는, 현존하는 최고의 강장제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약성이 부드러워 바로 효과가 나타나진 않지만, 꾸준히 복용하시면 이루 말할 수 없는 효능을 발휘합니다.
구기자는 열거할 수 없을만큼의 효능으로 상약 중의 상약으로 분류되며, 하늘이 백성에게 내려준 과실이라 불리었습니다.
간장과 신장기능을 강화하는데 그것이 곧 정력으로 연결됩니다. . 인삼, 하수오와 함께 3대 명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복분자
폴리페놀, 비타민, 엽산, 아연 등 풍부한 영양성분과 함께 남녀 모두에게 유익한 과실입니다.
복분자라는 이름이 요강이 뒤집횔 만큼 소변줄기가 세어진다는 민담에서 유래된 만큼 정력보강에 뛰어난 효능이 있으며
항산화, 항암, 노화방지, 혈관질환 등의 성인병 예방에도 좋습니다.
음양곽 (삼지구엽)
음양곽은 정력을 강하게 하고 건망증을 예방하는데 특효입니다.
정맥(精脈)의 분비를 늘이고 남근(男根)의 혈액량을 증가시켜 발기력을 강하게 하는 작용을 합니다.
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성신경을 자극,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고, 갱년기에 음낭 아래가 축축하고 손발이 냉해지며
발기가 잘 안될 때 효과가 있습니다.
무협지를 보면 말린 음양곽으로 최음제를 제조했다는 내용이 있을 정도로 강장강정의 대명사로 일반인들에게까지 알려져
있는 약초입니다.
영문이름 조차 Horny Goat Weed(발정난 염소 풀 ^^) 로써 중국의 유래를 그대로 가져온 듯 보입니다.
서양의 꽃말에서도 "당신을 붙잡아두다", "비밀", "회춘"등의 꽃말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워낙 뛰어난 자양강장제로써 동서양을
막론하고 정력을 돋우고 불임을 치료하는데 널리 효과가 증명된 약초이기도 합니다.
야관문 (비수리)
비수리의 생약명은 야관문(夜關門)이며, 유래처럼 야관문은 “밤에 빗장을 열고 기다린다.”라는 의미입니다.
지난 2013년 개봉해 화제가 되었던 임경수 감독의 영화 '야관문: 욕망의 꽃'
배우 신성이 열연한 이 영화는 은퇴 후 시한부 판정을 받은 남자가 젊고 아름다운 간병인을 만나며 벌어지는 이야기로, 영화에는 비밀스런
약초가 등장합니다. 젊은 여인은 간병인으로 위장하여 매일 조금씩 노인에게 약초술을 먹이고, 노인의 정력을 되살려 냄으로 숨겼고 있던
과거의 복수에 성공합니다. 이때 사용된 약초가 바로 야관문 입니다.
흔히 비수리.라 부르는 산야초로써 남성의 정력을 세게 해주는 약초입니다. f